■ 교재 선택 및 필기시험 준비 기간

1. 실기 교재

실기 공부 방법의 유형은 제가 봤을때 1.교재로만 독학 / 2.동영상 강의가 있는 교재를 선택한 독학 / 3.전기기사 학원 등록 대충 이렇게 나뉘어 지는 듯 합니다.

저는 당연히 1.교재로만 독학을 선택 했습니다. 그렇기에 필기를 준비하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던 앤트미디어 교재를 선택했지요. 

전기기사 실기 교재

해당 교재로 공부를 해보니 미전공자에게는 설명이 좀 어려운 듯 했습니다. 물론 미전공자에게는 사실 어떤 교재를 놔둬도 어렵겠지만 나중에 확인한 다산에듀와 비교를 해보니 그렇다는 것이고 기타 웬만한 교재들과 비교해 보면 설명이 잘되어 있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재에 점수를 매긴다면 약 80점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 교재에는 33년치의 기출문제가 포함되어 있는데 33년 치를 공부를 한 사람도 있겠지만 저는 20년치만 공부를 했습니다. 그러니깐 2002 ~ 2021년도 분량을 했습니다. (참고로 제가 02군번입니다 ㅋㅋㅋㅋ)

누구는 기출을 10년 치만 해도 된다 또는 20년 치를 해야 한다 말이 많지만 제 생각은 10년 치는 좀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똑똑한 분이 10년 치를 다 이해하고 관련 이론도 알면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저희는 그게 아니잖요. 그저 자격증을 갖는 게 목표인 수험자이기 때문에 어쩌면 앵무새처럼 또는 로봇처럼 문제를 보고 풀면 되기 때문에 전기기사 실기는 10년은 좀 부족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2. 공부 기간

예전 글에도 적었지만 2022년 6~7월은 개인적으로 많이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필기시험을 마치고 바로 실기를 준비 할 수 없었죠. 해서 8월부터 준비를 시작해서 10월 16일에 시험을 치렀으니 2.5개월 준비를 했습니다. 짧은 시간에 나름 알차게 준비했다고 생각하고 그 기간에 어떻게 준비 했는지 적어보고자 합니다.


■ 유형별 공부 방법(암기, 계산, 시퀀스)

1. 암기 문제

전기 실기는 암기 문제가 상당히 많습니다. 소방과 비료를 해보자면 제 체감 상 1.5 ~ 2배 정도 되는 듯싶어요. 게다가 단순 단답형 암기문제도 있지만 대부분은 서술형 암기문제가 많이 있습니다. 처음 외우기 시작한다면 1문제 외우고 다음 문제로 가면 처음 외웠던 답을 잊어버리는 황당하지만 당연스러운 상황이 발생하죠.

실기 암기 리스트
암기 리스트

그래서 저는 어쨌든 실기 시험에서 가장 쉽고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암기 문제들은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에는 공부하지 않았습니다. 계산 및 그리기문제(시퀀스)에 집중하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해서 저는 암기 문제는 나오면 저렇게 핸드폰 사진으로 찍으니깐 약 200개가 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곤 자투리 시간, 그러니깐 출퇴근 하는 시간 / 업무시간중에 짬이 나는 시간 / 화장실에 있는 시간에 외우곤 했습니다. 

암기 문제는 책상에 앉아 있을 때보다는 좀 시끄러운 장소(카페, 지하철 등등)에 웅얼거리면서 외우는 것이 더 잘 외워지고 의외로 집중이 더 잘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말 긴 문제(약 5문제 정도)는 외우는 걸 포기 했고 좀 긴 문제들은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키워드를 외워서 키워드만 나열해서 외웠고 나중에 시험장에는 그 키워드를 조합해서 문장을 만들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2. 계산 문제

전기 실기의 꽃이죠. 유형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죠. 그리고 어렵기도 하고요. 

내 자신이 똑똑해서 책에 있는 해설로만으로도 이해가 되면 참 좋겠지만 대부분의 우리들은 그게 불가능합니다. 사실 제가 봤을 때 전기를 전공한 사람들한테도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제 친구 중에 전기공학과를 전공한 친구가 있는데 정말 이해가 안가는 문제를 물어 봤더니 본인도 배운지 20여년이 지났고 사실 배웠는지도 모르겠다고 라고 하드라고요 ㅋㅋㅋ

아무튼 그래서 우리는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동영상 강의

다행이도 제가 선택한 교재는 10년치 실기 기출문제 해설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려놔서 실기 기출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앤트미디어 전기 실기 강의 동영상

다만 올려놓은 강의가 무료다 보니 유료로 강의하는 자료보다는 퀄리티가 좀 떨어지고 자세히 설명해 주지도 않습니다. 그렇지만 아까 말했다시피 처음에 문제를 푸는데 손을 델 수도 없는 사람들에게는 최소한 어떤 식을 어떻게 대입해서 풀어야 한다는 방법을 알 수도 있고 좀 친절하게 알려 주지 않지만 이 강의만 보더라고 시험에 합격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교재는 유료긴 하지만 강의는 무료잖아요.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면 유료 강의를 사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이면지에 손으로 풀기

계산문제의 경우 어떻게 푸는지 눈으로 배웠으면 꼭 손으로 풀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회사에서 이면지를 잔뜩 가져와서 하루에 많이 쓸 때는 20장 이상 사용하면서 손으로 풀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러면 나중에는 문제만 보면 답을 외우게 되면 혹 중간에 값이 틀리면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 처음부터 다시 풀 정도로 숙달 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간단하다고 생각되는 문제는 Skip하게 되는데, 그러면 나중에 그 문제는 꼭 시험장에서 만나게 되고 긴장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 풀이 과정이 생각이 나질 않아 정말 어이없게도 틀리게 되는 상황이 옵니다.  

정작 어려운 문제는 맞췄는데 쉬운 문제를 틀리게 되면 합격을 할 정도의 점수가 되더라도 속상하고 또 간당간당한 점수라면 더욱 결과 발표까지 애간장 타는 상황이 올 수도 있죠. 그러니 저처럼 쉬운 문제라고 눈으로만 보고 넘기지 말고 꼭 손으로 풀어서 본인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암기/오답 노트

저는 필기, 실기 합쳐서 약 10번의 시험을 보았지만 꼭 암기노트를 작성했습니다. 처음에는 암기노트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 정성스럽게 작성을 했지만 나중에 보면 굳이 그렇게 까지 했어야 했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나중에는 내가 꼭 알아야 하는 핵심만 노트에 적어서 보곤 했습니다.

암기 오답 노트

암기 노트의 특성 상 공부 초반에 많은 도움이 되고 나중에 숙달의 시기가 오면 그 효용성이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해서 너무나 많은 시간에 오답 노트에 시간을 할애하지 말고 내가 꼭 외워야 하겠다는 부분만 발췌해서 적어두면 좋을 꺼 같네요.

  • 틀린 문제 표기

내가 다 이해했다고 생각하는 문제도 몇년 치 기출문제를 풀고 나면 다시 잃어버립니다. 슬픈 현실이지요. 지금도 지락, ELB관련 문제가 생각이 나는데요. 죽어라 풀어도 이해가 되질 않았습니다.

틀린 문제 표시
틀린 문제는 다시 봐도 모름

예전에 찍어 뒀던 사진인데 한 문제는 2번 틀리고 3번째 풀었을 때는 맞았었고, 그 밑에 문제는 3번째도 틀렸다가 4번짼 봤을 때는 맞았던 문제 입니다. 

저렇듯 본인만의 틀린 문제 표시 방법을 정해서 2회독 3회독 했을 때는 틀린 문제 위주로 공부를 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공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푸는 순서를 최근부터 예전으로 간다면 최근 기출에는 저렇게 표시되어 있는 문제가 많지만 점점 풀다보면 표시가 되어 있는 문제가 줄어들어 공부에 소소한 성취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3. 시퀀스 문제

사실 이 부분에서는 제가 크게 할 말이 없습니다. 왜냐면 저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고 시험을 봤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저는 시퀀스 문제를 1번 암기문제와 동일하다고 여기고 문제를 풀었습니다.

그러니깐 기출과 똑같은 문제가 나오면 풀 수 있지만 조금이라도 변형이 되면 풀 수 없는 상태(?)라고 할 수 있지요. 저한테는 시퀀스 문제는 그림그리기 문제, 즉 모사 똑같이 그릴 수 있느냐의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시 기사시험을 준비하라고 해도 시퀀스는 저렇게 밖에 준비하지 못 할 듯싶습니다. 그래도 20년 시퀀스 기출문제를 외우다보면 어느 정도의 패턴은 알 수 있게 되는데...사실 시험에 변형이 되면 크게 도움을 되지 않을 싶습니다.

※ 시퀀스 문제의 팁을 원하셨던 분들께는 죄송합니다.


저도 40년을 넘게 살면서 많은 시험을 봐봤지만 전기기사 준비기간이 수능시험 이후로 가장 집중해서 공부를 한 기간이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 많은 고생했었습니다. 

매년 전기기사에 도전하는 사람들은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년에 약 만 명이 합격을 하는 시험이 되어 버렸습니다. 일 년에 만 명이나 합격을 하는 걸 보면 또 어떻게 보면 그렇게 어려운 시험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당장 한줄 공부를 하는 게 지루하고 힘들게 느껴지시겠지만 참고 하시다보면 충분히 합격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들 본인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를 기원합니다.

 

전기기사 (필기) 공부 방법 & 팁

 

전기기사 (필기) 공부 방법 & 팁

■ 교재 선택 및 필기시험 준비 기간 저는 보통 책을 YES24에서 구매하기 때문에 예전 구매내역을 확인해보니 2022년 1월 21일에 전기기사 필기를 구매 했습니다. 책은 많이들 구매하시는 앤트미디

wscheong.tistory.com

 

+ Recent posts